반응형
리스트 list : 비슷한 성질을(자료형) 가진 객체의 나열
인덱스 : 0 1 2 3 4 5 : 0부터 시작한다.
값 3.2 4.3 2.2 1.3 4.2 3.0
students[1000] -> 1000개를 담을꺼야
a = [3.2, 4.3, 2.2, 1.3, 4.2, 3.0]
print("인덱스 0 =", a[0])
print("인덱스 1 =", a[1])
print("인덱스 2 =", a[2])
print("인덱스 3 =", a[3])
print("인덱스 4 =", a[4])
0번째 인덱스를 바꾼다.
a[0] = 0.9
print("인덱스 4 =", a[0])
반복문
for i in a:
print(sum)
sum = sum + i
print("평균 점수: ", sum / len(a))
a = [
[90, 95, 83, 54, 20],
[48, 92, 85, 82, 92]
]
sum = 0
English = a[0]
for i in English:
sum = sum + 1
print("영어 평균 점수: ", sum / len(English))
sum = 0
math = a[1]
for i in math:
sum = sum + 1
print("수학 평균 점수: ", sum / len(math))
<list 함수>
a = [ 10, 20, 30, 40, 50, 10, 10]
b = [ 70, 60, 30]
Count(원소): 리스트내 특정 원소가 몇 개 포함되어 있는지 반환
print(a.count(50))
index(원소): 리스트내 특정 원소의 위치가 어디있는지 반환
print(a.index(50))
append(원소): 리스트의 뒤쪽에 새로운 우너소를 삽입
print(a.append(20))
sort() 리스트를 오름차순으로 정렬
a.sort()
print(a)
extend(리스트): 리스트의 뒤쪽에 다른 리스트를 삽입
a.extend(b)
print(a)
insert(인덱스,원소): 특정한 위치에 원소를 삽입
a.insert(3, 70)
print(a)
remove(원소): 리스트내 특정 원소를 삭제(앞에값먼저)
a.remove(10)
print(a)
pop(인덱스):리스트내 특정 인덱스 위치의 원소를 삭제
a.pop()
print(a)
reverse(): 리스트를 뒤집기
a.reverse()
print(a)
'Python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YTHON] 7. 연산자문법, 튜플(Tuple), 시퀀스자료형 (1) | 2022.07.22 |
|---|---|
| [PYTHON] 6. 들여쓰기,예약어,주석,반복문 (0) | 2022.07.22 |
| [PYTHON] 3. 문자열, 함수 (0) | 2022.07.21 |
| [PYTHON] 4. 객체지향언어 (1) | 2022.07.21 |
| [PYTHON] 2-4.RUR-PLE 실습(조건문) (0) | 2022.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