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3 (2주차 1차) 배열 배열이란 동일한 자료형의 데이터를 한 번에 여러게 만들때 사용됨 배열의 필요성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여러 개의 개별 뱐수를 사용하는 것은 매번 다른이름으로 접근을 해야 하므로 많은 불편이 따른다. 배열을 사용하면 연속적인 메모리 공안이 할당되고 인덱스 번호를 이용하여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반복 루프를 이용하여 쉽게 처리가 가능해짐 배열의 특징 - 배열 쌍의 집합 - 직접 접근(Direct Acess) 방식 ##연결리스트는 순차접근으로 배열과 서로다름 객체 - 쌍의 집합 연산 -create(size) = size 개의 요소를 저장 할 수 있는 배열 생성 - get(A, i) = 배열 A의 i번째 요소 반환 - set(A, i, v) = 배열 A의 I번째 위치에 값 v저장 1차원 배열의 선언문 > .. 2023. 3. 19. (1주차 2차) 재귀호출 순환(Recursion) 알고리즘이나함수가수행중에자기자신을다시호출하여 문제를해결하는프로그래밍기법 >재귀호출이라고도함 >정의자체가순환적으로되어있는경우 적합함 순환의 예 팩토리얼 값구하기 피보나치수열 이항계수 하노이의 탑 이진탐색 영역채색(Blob Coloring) 팩토리얼의 정의 n! = 1 𝒏 = 0 𝒏* (𝒏– 1)! 𝒏 ≥ 1 (n-1)! 을구하는서브함수factorial_n_1를따로제작 순환 호출의 내부적인 구현 >순환호출시복귀주소가시스템스택에저장되고호출되는 함수를위한매개변수와지역변수를스택으로부터할당받음 - 함수를위한시스템스택에서의공간을활성레코드 (Activation Record)라함 >호출된함수가끝나게되면시스템스택에서복귀주소를추출하여 호출한함수로되돌아가게됨 >순환호출이계속중첩될수록시스템스택에서는활성.. 2023. 3. 12. (1주차 1차) 자료구조의 개요 자료(Data) 현실 세계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된 값이나 사실 정보(Information) 주어진 상황에 대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위해 자료를 가공하여 얻어진 유용한 결과 자료를 처리하여 얻어진 유용한 결과로 i=P(D)로 표현할 수 있음 자료구조는 왜 필요할까? 일상생활에서 자료를 정리하고 조직화 하는건 사물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함. 자료구조(Data Structure) 컴퓨터에서 자료를 정리하고 조직화 하는 다양한 구조로, 추상화를 통해 자료의 논리적인 관계를 구조화한것 스택: 그릇을 쌓아서 보관하는것. (LIFO) 큐: 마트 계산대의 줄 (FIFO) 리스트: 할일 리스트 사전(정렬) : 영어사전 그래프: 지도 트리: 회사의 조직도 컴퓨터 프로그램은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으로 구성됨 .. 2023. 3.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