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방법.
https://docs.oracle.com/javase/7/docs/api/
public class ClassAP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th 라는 클래스에 pi가 있음.
System.out.println(Math.PI);
System.out.println(Math.floor(1.6));
System.out.println(Math.ceil(1.6));
}
}
클래스 Math에는 연관되어있는 필드와 메서드가 있다.


<<객체지향>>. (refactoring은 중요하다.)
서로연관되어있는 데이터(변수)와 연산(함수)를 그룹칭 하는것
<기존>
아래와같이 복잡한 로직이라고 가정하였을때 일일히 변경해야한다.
그렇게되어 함수를 사용하기 시작.
중복의제거 ->재활용성,유지보수의편의성,가동성
-> 메소드 사용

개선사항 : sum을 다른로직에 가져다 놓을수있다.
유지보수 용이하다. 분석이 쉽다.

<메소드를 사용하면서의 문제점>
함수와 변수가 많아짐에 유지보수가 쉽지않고.
추가적으로 여러개의 목적이 다른 코드들이 섞이다보니 ,, 연간되어있던
코드자체를 다른곳에 사용하지못한다.

<객체화>
중복되는값 생각해보기..
반복되고 중복된애들이 많아짐. 이전에는 연관되어있는것들을 메소드화 시킴. 인자값을 준다.
그러나 변수에따라 sum과 avg를 사용에따라 쓰고시어 객체를 생성한다.

c1(변수) = 인스턴스
calculator() : 객체
인스턴스 = 구체적인 객체

class calculator : calculator 객체의 설계도를 알려주겠다.
객체는 독립된 프로그램 이며 , 그안에는 변수 및 메소드가 들어간다.

this. left는 calculator 를 구체적으로 만들며 변수를 가르킴.

sum 사용예시..

c1과 c2는 같은class로 만들어졌기때문에 구조는 같으나 각각상태가 됬다.
'객체지향은 상태와 행위 의 집합.'
left 10 = 상태 , sum,avr =행위

객체는 하나의 데이터타입이다.
int c라는 변수를 설정하면 어느정도 메모리를 차지하는것처럼
객체에 left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 주석과 세미클론 (0) | 2022.02.27 |
|---|---|
| java)5일차 변수 (1) | 2022.02.27 |
| java)4일차 -참조 (0) | 2022.02.26 |
| Java)2일차 (0) | 2022.02.24 |
| java) 1일차 (4) | 2022.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