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시간에는 BP의 개념에대해서 알아봤습니다.
티스토리
좀 아는 블로거들의 유용한 이야기, 티스토리. 블로그, 포트폴리오, 웹사이트까지 티스토리에서 나를 표현해 보세요.
www.tistory.com
이번시간에는 BP화면의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Business Patner Category
Busuness Patner Category는 BP를 처음 생성 할 때 꼭 선택해야 하는 코드 값입니다.
아래 그림의 상단부분에 보이는 개인(Person), 조직(Organization), 그룹(Group)의 3가지중에서 반드시 한가지를 선택해야합니다.
3가지의 코드값은 IMG 설정에 의해 변경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변경 될 수 있는 코드 값이 아니고 SAP Standard 기본 설정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Vendor, Customer, Broker 등은 조직(Organization)를 선택하고 Bank(은행)이나 정부 공공기간은 그룹(Group)을 선택합니다. 사원 즉 Emoloyee인 경우네는 개인(Person)을 선택합니다.
그러나 BP 생성시에 입력받는 주소나 이름등의 필드만 차이가 날뿐 기본적인 BP의 정보들을 입력하는 것은 동일한 구조입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조직(Organization)를 사용합니다.
각 BP Category는 아래와같이 차이가 납니다.
a) 개인(Person) : 성과 이름 입력가능, 주소나 prefixes등의 값 설정가능
b) 조직(Organization) : 법적인 조직이나 단체이름, 산업 종업등의 값 설정가능
c) 그룹(Group): 여러개의 이름, 파트너 그룹 타입등의 값 설정가능
Business Patner Role
이제 Category의 조직을 클릭해서 접속하면 아래와같이 BP 역할에 생성(Create in BP role)을 입력해야합니다.
그러면 어떤것을 선택해야 할까요?
BP Role(비즈니스 파트너 역할)**은 해당 BP가 SAP의 어떤 모듈에서 어떤 기능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속성입니다.
하나의 BP는 여러 개의 역할을 가질 수 있습니다
BP Role 선택 기준은 BP가 어떤 역할을 할지에 따라 적절한 Role을 선택해야 합니다.
BP 역할 | 설명 | 적용 모듈 |
FLCU00 | 재무(FI) 관점에서 고객 (재무 고객) | FI(재무) |
FLCU01 | 판매(SD) 관점에서 고객 (판매 고객) | SD(판매) |
FLVN00 | 재무(FI) 관점에서 공급업체 (재무 공급업체) | FI(재무) |
FLVN01 | 구매(MM) 관점에서 공급업체 (구매처) | MM(구매) |
BP Role 은 IMG에서 세팅할 수 있으며 회사마다 세분화해서 구분하여 관리 할 수가 있습니다.
역할에 따라 달라지는 화면구성.
추가적으로 하나의 팁을 알려드리자면 Role선택에따라 화면구성이 달라집니다.
FI고객(FLCU00)과 SD고객(FLCU01) 로 각각 BP역할을 지정했을때 화면의 구성 차이점을 확인해봅시다.
FI고객(FLCU00)
SD고객(FLCU01)
위 처럼 FI고객(FLCU00)일때는 회사코드에 대한 정보를 입력 할 수있고, SD고객(FLCU01) 으로 생성 하였을때는
판매관리 정보를 입력 할 수있도록 Role에따라 화면구성이 달라지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아래와같이 FI의 회사코드, SD의 판매관리를 동시에 사용 할 수있는 Role도 만들 수 있습니다.
Business Patner Grouping
BP Grouping은 하나 혹은 여러 개의 BP Role(역할)을 묶어 하나의 그룹으로 만든 것입니다.
- 예를 들어, 고객 관련 역할(FLCU00, FLCU01)만을 묶어서 하나의 BP Grouping을 만들 수도 있고, 공급업체 관련 역할(FLVN00, FLVN01)만을 묶을 수도 있습니다.
BP Grouping의 구조를 단계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하나의 BP Role Grouping Category(큰 범주의 그룹) 안에 여러 개의 BP Grouping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각 BP Grouping 안에는 여러 개의 BP Role(고객, 공급업체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예를들어 아래와 같이 표현 할 수있습니다.
BP Role Grouping Category: "고객 및 공급업체"
├── BP Grouping: "고객 그룹"
│ ├── BP Role: FLCU00 (재무 고객)
│ ├── BP Role: FLCU01 (판매 고객)
│
├── BP Grouping: "공급업체 그룹"
├── BP Role: FLVN00 (재무 공급업체)
├── BP Role: FLVN01 (구매 공급업체)
즉, 고객 관련 역할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고, 공급업체 관련 역할들을 또 다른 그룹으로 묶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그룹을 만들었을까요?
👉 특정 사용자에게 BP 트랜잭션의 일부 기능만 사용하도록 제한하기 위해서입니다.
- SAP에서는 사용자가 모든 기능을 다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는 고객 정보만 조회하고, 공급업체 데이터는 볼 수 없게 하고 싶다면?- 이럴 때 Application Transaction 기능을 활용하면 됩니다.
- BP Grouping을 기반으로 여러 개의 트랜잭션 코드(T-Code)를 생성하고, 특정 사용자에게 필요한 기능만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제: 사용자 권한 제어
**예제 1:
- A 직원은 고객 데이터만 조회해야 한다면?
→ ZBP_CUSTOMER 같은 맞춤형 트랜잭션 코드를 생성하여 고객 관련 BP Role만 조회 가능하도록 설정하면됩니다.
**예제 2:
- B 직원은 공급업체 데이터만 조회해야 한다면?
→ ZBP_VENDOR 같은 트랜잭션 코드를 만들어 공급업체 관련 BP Role만 사용 가능하게 설정하면됩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자신에게 필요한 기능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되고, 보안 및 관리가 더 쉬워집니다.
앞서 우리는 BP Grouping의 개념과 왜 필요한지에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한가지 더 중요한것이 번호 범위(Number Range) 라는 것입니다.
범위(Number Range)란 BP의 번호를 관리 하는 것입니다.
SAP에서 BP(Business Partner)를 생성할 때, 각 BP에는 고유한 번호(BP 번호)가 부여되는데 고유한 BP 번호를 자동으로 부여하거나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범위를 지정하는 기능입니다.
기존의 Vendor Master(공급업체 마스터)나 Customer Master(고객 마스터)도 동일하게 Number Range를 사용합니다.
- 예를 들어,
- 고객(Customer)은 100000~199999
- 공급업체(Vendor)는 200000~299999
이런 식으로 번호 범위를 나눌 수 있습니다.
즉, BP의 번호 범위는 "이 BP는 몇 번부터 몇 번까지의 번호를 가질 것인가"를 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BP를 생성할 때, BP Grouping을 선택하면 해당 Grouping에 설정된 번호 범위가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아래의 예시를 참고하여 이해해봅시다.
<예제>
- BP Grouping을 "고객 그룹(Customer Group)"으로 선택
→ 고객 그룹에는 100000~199999 번호 범위가 설정됨
→ 새로운 BP가 생성될 때 100001부터 자동으로 채번됨 - BP Grouping을 "공급업체 그룹(Vendor Group)"으로 선택
→ 공급업체 그룹에는 200000~299999 번호 범위가 설정됨
→ 새로운 BP가 생성될 때 200001부터 자동으로 채번됨
BP번호가 채번되는 과정을 살펴봅시다.
- SAP IMG(Implementation Guide)에서 BP Grouping을 설정할 때, 특정 번호 범위를 지정합니다.
- 사용자가 BP를 생성할 때 BP Grouping을 선택하면 해당 그룹에 맞는 번호 범위가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 SAP는 설정된 번호 범위에 따라 새로운 BP 번호를 자동으로 부여(채번) 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img를 통해 실제로 Business Patner Role과 Business Patner Grouping을 설정하는 방법과 실제로 BP를 등록하는 방법에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SAP > FI모듈'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_FI] 전표생성, 회계문서 테이블 이해하기 (0) | 2025.03.28 |
---|---|
[SAP_FI] BP 계정생성, 마스터 테이블 이해하기 (0) | 2025.03.27 |
[SAP_FI] BP(Business Patner)개념 및 역할 (0) | 2025.03.08 |
[SAP_FI] Company Code Currency & Account Currency (0) | 2025.02.03 |
[SAP_FI] 회계원리,단식부기,복식부기,B/S, P/I (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