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Python/공부18

[PYTHON] 6. 들여쓰기,예약어,주석,반복문 -> 동일선상의 실행 구문을 알리기위한 목적 * 첫 명령어는 들여쓰기 하지않는다. *조건문, 반복문 등의 문법을 사용할 때는 콜론(:)으로 명령어의 끝을 알립니다. *콜론(:)의 다음 줄 부터는 들여쓰기의 간격이 모두 일정해야 합니다 *들여쓰기가 중요하다!!@!! 들여쓰기 사용 예시) score = 75 if score >=80: print("good") print("점수가 80점을 넘었습니다.") #동일선상에 묶음으로 실행된다. 일치할경우 1번째실행 elif score >= 70: #점수ㅜ가 80점 이상은 아니지만 70점 이상일경우. print("Not Bad") print("점수가 70점 이상입니다.") else: print("Bad") print("어떤 내용") #2번째실행 Tip) 연산 식마다 구.. 2022. 7. 22.
[PYTHON] 5. 리스트(함수포함) 리스트 list : 비슷한 성질을(자료형) 가진 객체의 나열 인덱스 : 0 1 2 3 4 5 : 0부터 시작한다. 값 3.2 4.3 2.2 1.3 4.2 3.0 students[1000] -> 1000개를 담을꺼야 a = [3.2, 4.3, 2.2, 1.3, 4.2, 3.0] print("인덱스 0 =", a[0]) print("인덱스 1 =", a[1]) print("인덱스 2 =", a[2]) print("인덱스 3 =", a[3]) print("인덱스 4 =", a[4]) 0번째 인덱스를 바꾼다. a[0] = 0.9 print("인덱스 4 =", a[0]) 반복문 for i in a: print(sum) sum = sum + i print("평균 점수: ", sum / len(a)) a = [ [9.. 2022. 7. 21.
[PYTHON] 3. 문자열, 함수 \ , \n, \t = 이스케이프 코드... print("\"안녕\t 파이썬! \n 줄바꿈이 이루어졌습니다") 문자열은 더할수도 있고 , 곱할수도있다.(반복하겠다.) a = "안녕" b = "파이썬" print(a+b) print((a+b)*2) 문자열 인덱싱 -> 문자열의 개별번호 a = "hello world" print(a[0]) 뒤에서부터 세기 -를 넣으면된다. a = "hello world" print(a[-3]) 문자열 슬라이싱 a = "hello world" print(a[2:9]) print(a[2:]) #2부터 다 출력 print(a[:-2]) #뒤에부터 앞까지 다 출력 print(a[:]) #전체 출력 print(a[0:7:2]) # 0부터 7까지 출력하는데 2칸씩 건너띄면서 출력한다... 2022. 7. 21.
[PYTHON] 4. 객체지향언어 객체란 실세계의 사물이라고 정의한다. a = 10 이라고 입력하여 변수에 10을 할당하면, 컴퓨터는 메모리의 어떠한 공간에 정수 형태가 들어갈수 있도록 공간을 할당한다.이후 그메모리의 위치를 저장한다. 이후 그위치를 a라는 변수가 가지도록 합니다. a는 메모리상에 저장된 주소이다. 이는 식별자 라고 한다. (a = 식별자) 저장되는 곳을 메모리 주소라고 하며, 식별자가 메모리 주소를 가르키도록 하는것을 바인딩(Binding) 이라고말한다. 결과적으로 할당 연산자(=)는 메모리 주소를 기억하라고 변수에게 특정한 주소를 할당해주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10은 a에 바로 들어가는것이 아니라, '정수 데이터'에 기록되는것. 10이라는 데이터를 다른 변수가 가르키도록(저장할수있도록) 변수의 값을 할당 해주는것. .. 2022. 7. 21.
반응형